군침이 싹 도는 코딩
AWS Lambda를 이용한 Serverless 배포하기 (2) 본문
AWS Lambda를 이용한 Serverless 배포하기 (1)
IAM 사용자를 생성한다 IAM 사용자 추가 # AWS IAM에 가서 사용자를 누른 뒤 사용자 추가를 누른다 #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고 엑세스 키에 체크를 한 뒤 다음을 누른다 # 필요한 권한들을 추가한 뒤
mugoori.tistory.com

# AWS Lambda를 이용한 Serverless 배포하기 (1) 에 이어서 계속한다
배포용 깃허브 레파지토리를 만든다

# 깃허브에 만든 배포용 레파지토리를 깃허브 데스크탑을 통해 클론 한 뒤에 서버리스 적용된 폴더에 있는것을 모두
깃허브 배포용 레파지토리에 넣는다

# 배포용 레파지토리를 비쥬얼 스튜디오코드로 열고 만들어뒀던 api를 모두 복사 붙여넣기 해준다

# .gitignore에 node_modules 를 적어준다
그 뒤 커밋하고 푸쉬한다
파이썬 인터프리터 가상환경에 맞게 설정 후 로컬에서 먼저 테스트를 해본다

# 문제없이 돌아간다면 sls deploy를 터미널에 타이핑해서 배포한다

# 포스트맨을 실행해 엔드포인트 url을 붙여넣고 만들어뒀던 API를 실행해보면
500 인터널 에러가 발생한다 이 이유는 AWS 람다가 우리가 설치한 라이브러리가 없기때문이다

# 이것은 AWS CloudWatch에 가보면 확인할수 있다 모듈을 찾을수없다는 로그가 기록되어있다

# requirements.txt 에 우리가 사용했던 라이브러리를 모두 적어줘야한다
그 뒤 다시 배포를 한다

# 포스트맨으로 다시 테스트를 해보면 잘 작동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클라우드와치에서도 잘 작동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리퀘스트를 실행하면 start와 end가 한쌍으로 보인다
'AWS > Lamb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ambda 지연시간에 따른 상태코드 500 해결법 (0) | 2023.01.17 |
---|---|
lambda layer 만들기 (2) (0) | 2023.01.11 |
Lambda layer 만들기 (1) numpy, pandas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법 (1) | 2023.01.11 |
AWS lambda serverless 배포 시 한국으로 바꾸는 법 (0) | 2023.01.11 |
AWS Lambda를 이용한 Serverless 배포하기 (1)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