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ython/Basic (24)
군침이 싹 도는 코딩
파라미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출력이 나오는것을 default parameter라고 한다 파라미터에 = 기호를 사용해 값을 넣어주면 default parameter가 된다. def get_age(num) : return print('제 나이는 {}살 입니다.'.format(num)) get_age(33) 제 나이는 33살 입니다. def get_age(num=25) : return print('제 나이는 {}살 입니다.'.format(num)) get_age() 제 나이는 25살 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 파라미터의 갯수가 두개 이상일 경우 default parameter 는 non default parameter 뒤에 와야한다. def name_age(name="Mike",age) :..

함수의 정의(function definition) 함수의 정의는 크게 4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 def ● 함수이름 ● parameter or argument ● return # 함수의 정의 (function definition) # 화씨 온도를 알려주면, 켈빈 온도로 바꿔주는 함수 def fahr_to_kelvin(temp) : result = (temp -32) * (5/9) + 273.15 return result # 리턴의 오른쪽을 돌려주다. fahr_to_kelvin(100) 310.92777777777775 # ____ 메모리에서의 동작 방식 _____ # ____ STACK 메모리 ( 함수를 실행하는 메모리 ) # ____ fahr_to_kelvin____ # temp : 100 # res..
while 루프는 콜론안에 들어가 있는 식이 True 일때 자신이 포함하는 문장을 실행시킨다. 보통의 while 루프는 초기값을 두고 그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True 인지를 체크한다. while 문을 만드는 법 i = 0 while i < 7 : print('hello') i = i + 1 #

range 함수는 지정한 범위안에 들어있는 정수들의 리스트를 만들어주는 함수이다. range(10) >>> range(0, 10) list(range(10)) # 눈에 보이진 않지만 이렇게 동작한다 >>> [0, 1, 2, 3, 4, 5, 6, 7, 8, 9] - range() 함수는, 숫자 리스트를 만들어 준다. - range() 함수는, 인덱스가 0 부터 시작한다. - 레인지의 괄호 안에 적는 숫자 갯수만큼 만든다. for문에 사용하여 반복횟수를 조절해줄수있다. for data in range(4) : print('hello') >>> hello hello hello hello

frults >>> ['apple', 'blueberries', 'mango', 'watermelon'] for name in frults : print(name) if name == 'mango' : break # break 를 포함하고 있는 가장 가까운 반복문 밖으로 나간다. print('Nice~') >>> apple blueberries mango Nice~ break 함수는 break를 포함하고 있는 가장 가까운 반복문 밖으로 나가 코드의 실행 순서가 바뀐다. for문 안에 if를 사용해 망고라는 문자열이 나오면 break를 통해 밖으로 나가게 되서 Nice~를 프린트해 결과값이 저렇게 나오게 된다.

for문은 안에 있는 데이터를 어떠한 동작으로 반복하는 것이다. score=[90,45,77,83,39] new_list[] for math in score : print(math - 5) new_list.append(math - 5) >>> 85 40 72 78 34 new_list >>> [85,40,72,78,34] for 문은 변수 in 변수안에 넣을 데이터 그 후에 조건을 쓰는식으로 사용한다 for 문은 변수안에 넣을 데이터를 다 사용할때까지 반복한다 score라는 리스트에서 -5를 한 값을 new_list에 append 함수를 사용해 저장하였다. 이때 주의할점은 for문에서 임의로 사용한 math 라는 변수는 for문 밖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 딕셔너리의 key 루프 my_phone={'..

apple_cnt = 20 if apple_cnt >= 10 : print('구매할 필요 없습니다. 여유 있습니다.') elif apple_cnt >= 5 : print('적정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elif apple_cnt >= 2 : print('사과를 구매할 타이밍 입니다.') else : print('사과가 거의 없습니다.') >>> 구매할 필요 없습니다. 여유 있습니다. # 코드의 실행 순서를 풀어써보면 # 먼저 사과의 갯수를 변수에 저장한다 = 20 개 # 그 후 if 문을 통해 사과의 갯수가 10 개보다 많거나 같으면 여유가 있다 # elif를 통해 나머지 조건과 액션을 작성해준다 # 해당 코드에서 사과의 갯수는 20개 이므로 첫번째 조건에 해당한다 # 따라서 나머지 코드들은 작동하지않..

연산자 AND 게이트 password >>> 'abc@1234!' len(password) >= 6 and len(password) >> True number >>> 7 number + 7 > 10 and cnt % 2 == 0 >>> False # and 연산자는 양쪽의 조건이 모두 True 일때만 결과가 True 이다 OR 게이트 password >>> 'abc@1234!' len(password) >> True # or 연산자는 왼쪽이나 오른쪽 하나의 조건만 True 라면 # 전체가 True 가 된다 위의 부등호와 게이트 다수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password >>> 'abc@1234!' number >>> 12 cnt >>> 5 len(p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