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03)
군침이 싹 도는 코딩

1. WebRTC # WebRTC ( Web Realtime Communications ) 는 웹브라우저 간에 플러그인의 도움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서 모바일, TV, PC가 모두 하나의 플랫폼에서 Real-Time으로 통신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음성 및 영상통화, P2P 파일과 같은 데이터 공유뿐아니라 게임 스트리밍에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원되는 기술을 말한다. 2. WebRTC 의 Architecture Overview #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가장 상단 Web API를 통해 들어오게 된다 여기서 커넥션을 맺고 밑에 세션 관리하는 계층을 통해서 보이스 엔진과 비디오 엔진을 통해 압축된 데이터들의 잡을 제거하고 서로 주고 받게 된다. 여기서 다룰 내용에서는 WebRTC에서 ..

한줄 요약 : Game Streaming 은 서버에서 랜더링을 하기때문에 사용자의 하드웨어 제한에서 자유롭다 그러나 비용이 많이 들고 기술 레퍼런스가 적다 1. Game Streaming 이란 무엇인가 ● 넷플릭스나 왓챠와 같은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를 게임 컨텐츠에 적용한 서비스 ● 고사양의 PC나 콘솔 기기가 없어도, 인터넷을 통해 즉시 게임을 즐길 수 있음 ● 클라우드 컴퓨팅에 게임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이를 스트리밍 한다 2. Game Streaming 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Benefit ● 구독서비스를 통해, 마니아층을 넘어 일반 사용자까지 대규모로 확장 ● 게임 플레이 방송을 이용한 게임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가능 ● 미디어와의 컨버전스 컨텐츠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이먼트 서비스 제공..

먼저 리스폰 시스템에 사용될 리스폰 지점을 만들어준다 blueprint > Actor 를 눌러 클래스를 생성한다 Billboard 를 하나 넣어주고 컴파일, 저장한다 BP_ThirdPersonGameMode 를 열어 이벤트 그래프에 해당 노드를 만든다 1. 커스텀 이벤트를 만들고 Spawn Actor from class 를 연결한다 2. Spawn Transform 을 커스텀 이벤트에 인풋으로 달아주고 Get Player Controller 를 만든다음 Possess 와 연결한다 3. Spawn Actor from class 의 리턴값을 In Pawn 에 연결해준다 BP_ThirdPersonCharacter 의 Respawn Player 의 전체 노드 우선 리스폰을 하려면 액터를 먼저 제거 해야한다 커스..
컴퓨터 메모리의 종류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컴퓨터를 종료하면 날아가는 휘벌성 메모리와 종료해도 날아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의 대표는 롬 ( ROM ) 이다 흔히 말하는 CD-ROM 이나 DVD-ROM 메인보드 혹은 하드 디스크를 말한다 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의 대표는 램 ( RAM ) 이다 램 ( RAM ) 은 하드 디스크나 CD 와 달리 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 이유는 램 ( RAM ) 의 경우 데이터의 랜덤하게 접근 할 수 있는데 하드 디스크나 CD 는 순차적으로 접근해야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컴퓨터는 대부분의 데이터들을 램 ( RAM ) 에 보관해 놓고 작업하다 중요한 데이터들은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게 된다..
/* 주석이 들어가는 부분 */ // 주석이 들어가는 부분 # C 언어에서 주석은 두 가지 방법으로 넣을 수 있다. /* 이 부분은 내가 아무리 생쇼를 해도 컴파일러가 무시 ㅁㄴㅇ러ㅏㅁ니ㅓㄹ먼리;ㅏㄴㅁ어림나러 무시 ㅁ아ㅓㄹ민럼ㄴㄹ ㅁㄴㅇ럼니러 ㅁㄴ라미너럼나러ㅣㅁ너라ㅣㅓㅇ printf("Hello, World");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 \n"); return 0; } # 위 코드들을 하나씩 분석해본다 #include # include 는 괄호 안에 파일을 우리 프로그램으로 불러온다는 뜻이다 해당 파일의 내용이 컴파일 할 때 우리 파일에 그대로 복사된다. stdio.h 파일을 포함 시키는 이유는 화면에 메세지를 띄울 수 있게 도와주는 여러 함수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 int main() # 위 코드는 main 이라는 함수를 정의한다 main 은 모든 C 프로그램이 처음으로 시작하는 부분이다 main 왼쪽에 int 는 영어의 integer 의 줄임말로 함수가 끝날 때 정수값을 반환한다는 뜻이다 printf("Hello, World! \n"); # 위 코드는 괄호 ..
파이썬에서 웹소켓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websockets 라는 모듈을 사용해야한다 이 모듈은 파이썬의 비동기 ( asynchronous ) 처리를 위한 asyncio 라는 표준모듈을 기반으로 개발 되었다 동기 호출과 비동기 호출 방식 동기 호출 방식은 일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것이다 예를 들어 햄버거 세트를 주문 받으면 햄버거를 만든다 > 감자튀김을 튀긴다 > 콜라를 따른다 순으로 차례대로 일을 처리하는것을 말한다 비동기 호출 방식은 동기 호출 방식보다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햄버거 세트를 주문 받으면 감자튀김을 튀김기에 넣고 감자튀김이 튀겨지는 동안 햄버거를 만드는 식으로 어떤 일을 처리를 기다릴때 다른일을 하는것을 말한다 컴퓨터 작업으로 치면 데이터를 요청하고 기다리는 동안 다른작업을 수행하는식..

1. 시퀀스 만들기 첫번째 방법 1-2. 시퀀스 만들기 두번째 방법 # 2번째 방법에는 동영상의 설정을 따라 가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영상 출력본과 맞지 않을수 있다 이럴때는 시퀀스 설정에서 바꿔준다 2. 시퀀스 설정 # 설정을 열고 프레임을 조절한다 프레임은 보통 30프레임을 가장 많이 쓰고 게임같은 움직임이 많은 영상은 60프레임을 사용한다 프레임이 늘어날수록 용량은 늘어난다 프레임이란 1초당 사진 몇장이 들어가는지라고 생각하면 쉽다 2-2. 화질 설정 # ( 세로 영상 기준 ) 프레임 크기의 세로가 기준이 된다 지금 화질은 1080p 로 되어있고 이것을 720으로 내리면 720p가 되는것이다 가로 사이즈를 정하는 방법은 16:9 기준 세로를 9로 나누고 16을 곱하면 된다 # ( 가로 영상 기준 ..